2015년 8월 5일 수요일

그날 이층집은 핵폭풍에 날아갔다, 25년뒤 쌍둥이 낳았지만..

입력 2015.08.06. 10:40

[한겨레]'원폭 70돌' 한국인 피해자들의 호소

"광복 70년? 우리에겐 피폭 고통 70년"

1945년 8월6일 아침 8시15분께, 일본 히로시마 시마병원 위로 원자폭탄 '리틀보이'가 떨어졌다. 당시 5살이던 이곡지(75)씨는 '그라운드 제로'에서 약 1.5㎞ 떨어진 집 안에 있었다. 히로시마에서 피폭당한 42만여명 가운데 조선인은 5만여명으로 추산된다. 사흘 뒤 두번째 원폭이 투하된 나가사키에서도 조선인 2만여명이 피폭당했다. 한국이 일본에 버금가는 '원폭 피해국'인 이유다. 그 뒤 긴 세월이 흘렀지만, 한국인 원폭 피해자들은 제대로 된 실태 파악이나 의료 지원을 받지 못한 채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광복 70년은 이들에게 고통의 70년이다.



히로시마 원폭 투하 70돌을 하루 앞둔 5일 이씨는 남편 김봉대(77)씨와 함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일본으로 가는 배 위에 있었다. 환경재단과 일본 피스보트가 마련한 '피스 앤 그린보트' 프로그램에 초청받아 참가자들에게 '탈핵과 평화'를 얘기하고자 배에 오른 것이다. 김씨는 "원폭 피해자 문제를 공론화하기 위해 미국과 일본을 상대로 8월 중에 국제소송도 제기하려 한다"고 했다.

70년 전 그날 이씨의 히로시마 이층집은 핵폭풍에 완전히 무너져내렸다. 1층에 있던 언니와 목욕탕 일을 나가던 아버지가 목숨을 잃었다. 이씨와 어머니는 그해 10월 고향인 경남 합천으로 돌아왔다. 어머니는 자주 한기를 느끼고 감기 비슷한 증상으로 고생했다. 이씨도 어릴 적부터 피부병을 앓았고 등에 생긴 종양 제거 수술도 받았다.

5살때 피폭당한 이곡지씨, 남편과 함께
원폭피해 알리려 '피스 보트' 올라
2세들은 치료 지원조차 못받아
또다른 원폭 피해자 심진태씨
"정부가 우리 죽기전 실태조사하고
일·미에 한국인 피해 문제제기해야"


더 큰 문제는 자녀에게서 나타났다. 45년 전 낳은 쌍둥이 중 한 아이는 22개월 만에 폐렴으로 세상을 떴다. 남은 아들 김형률씨도 10년 전 세상을 등졌다. 김씨는 "형률이는 폐 기능의 70%가 망가진 상태로 살다가 갔다. 2001년에 와서야 '선천성 면역글로불린 결핍증'이라는 희귀병인 걸 안 뒤, 원폭 후유증임을 확신하게 됐다"고 했다.

그러나 형률씨는 일본 정부가 발행하는 '피폭자 건강수첩'(건강수첩)을 받지 못했다. 건강수첩은 일본 정부가 원폭 피해자임을 인정하는 증표로, 이게 있으면 한국·일본에서 후유증 치료를 지원받을 수 있다. 앞서 손병두씨 등 한국인 원폭 피해자들이 벌인 소송 등을 통해 1978년부터 한국인에게도 건강수첩 교부가 '허용'됐다. 그러나 원폭 피해 2세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됐다.

심진태(72)씨는 2살 때 원폭을 경험했다. 시마병원에서 약 3.5㎞ 떨어진 곳에 살던 그는 후유증을 크게 겪지 않았지만 자식들한테 증상이 나타날까봐 늘 불안하다. 심씨는 "손주들에게서 혹시나 증상이 나타날까봐 남몰래 살펴본다. '광복 70년' 같은 말을 들으면 원폭 피해와 불안 속에 살아온 우리의 70년이 생각나 화가 난다"고 했다. 심씨는 한국 내 원폭 피해자 절반 이상이 살아 '한국의 히로시마'로 불리는 경남 합천에서 한국원폭피해자협회 지부장을 맡고 있다. 그는 "평균연령 80대인 원폭 1세대들이 죽기 전에 정부가 실태 조사와 연구를 하고 일본과 미국에 한국인 피해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 그런데 정부가 원자력발전만 강조하지 피해자 조사와 추모사업 하나 제대로 하지 않는다"고 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2005년 원폭 피해 2세대 1226명을 대상으로 질병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빈혈을 겪는 남성의 비율은 평균보다 88배 많다. 심근경색·협심증은 81배, 우울증은 65배 높게 나타났다. 원폭 피해 2세 여성들도 유방양성종양(64배)과 천식(23배) 등을 평균보다 많이 가지고 있었다. 장지혜 합천 평화의 집 사업팀장은 "일본은 2세대에 대한 영향을 모호하게 표시한 '핵폭탄사상자위원회' 연구 결과를 근거로 2세대를 피해자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국내에선 제대로 된 연구조차 없었다. 인권위 조사가 있었지만 후속 조치가 없다"고 했다.

청년초록네트워크와 핵없는사회를위한공동행동 등은 6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일본·대만 시민사회단체들과 함께 각국 정부와 국제사회에 핵산업 중단을 요구하는 '푸른하늘 국제선언'을 발표한다. 이날과 나가사키 원폭 투하 70돌인 9일에는 합천에서 한국인 원폭 희생자들을 기리는 추모제가 열린다.

방준호 기자whorun@hani.co.kr

원문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50806104011751

댓글 없음:

댓글 쓰기